애인과 연애를 하기 시작하면서 나는 늘 언제 커밍아웃을 할 것인지, 어떻게 엄마에게 이야기 할 것인지에 대해 긴장하고 고민을 하곤 한다.

그래서 고민끝에 만들어낸 전략은 친한 비혼 친구들과의 미래를 끊임없이 이야기 하는 것.

이건 꼭 애인과의 문제 뿐만이 아니라 비혼으로서의 나의 미래 비전을 엄마에게 이야기 함으로써 엄마가 딸이 결혼을 안해도 덜 걱정하도록 하겠다는 나의 고도의 전략이다.

아래는 엄마와의 대화.

"엄마 나 **랑 나중에 같이 살라고"
(왜 그러는지 궁금해함)
"나중에 귀농할껀데, 여자 혼자 귀농하면 사람들이 좀 그러기도 하고 그러니까 같이 할 친구가 있음 좋잖아. 근데 **는 나보다 농사도 잘 짓고 말도 통하고 그래서 같이 귀농하려고"
(약간 수긍)
"응 당장은 아니고 나는 한 10년 안에 하려고 하는데, **는 이것저것 하고 나면 한 15년정도 있어야 하지 않을까? 그래서 일단 같이 살면서 땅이랑 살 돈도 같이 모으고 그럴꺼야"
(그래도 둘 다 결혼해야 하는거 아니냐며-_-)
"됐어. 결혼 안하고 살 친구야. 얘 말고도 결혼 안하고 살 친구들 주위에 넘치거등. 우리동네에 혼자 사는 친구도 많고 같이 사는 친구들도 많아. @@랑 %%도 지금 같이 살잖아. 엄마 전에 봤지 그 친구들? "
(혼자 사는 친구들과 나의 미래가 걱정되기 시작)
"그래서 의료생협도 하는거고, 언니네같은 단체도 있는거고, 나도 지금 내 미래에 투자하고 있는거야. 노후 보장은 의료생협이 있어 걱정마! (라며 슬쩍 엄마에게 생협 가입도 권유)

(갑자기 애인을 어디서 만났는지 궁금해 하기 시작)
"언니네에서 만났잖아. @@랑 %%보다 1년정도 나중에 만났어. 근데 농사 하면서 급 친해졌지 뭐"
(애인에 대해 궁금해하기 시작. 기본적 정보는 알고 있음)
"응 아직도 같은 일 하지. 왜 별명부르냐고? 이름이 AA인데, 부를때 AA야! 하기도 좀 그렇고 AA씨! 도 이상하고-ㅁ- AA언니는 왠지 싫어;;;; 본인도 언니라고 불리는거 싫다고 하고. 그러니까 **라고 부르는거지 :) 주위 친구들도 다 서로 별명부르잖아"

......

뭐.... 엄마한테 10여년을 결혼안한다고 이야기해왔고,
(엄마 생각에) 결혼할 뻔한 상황도 한번 지냈고,
나의 의지가 너무 확고해 보이니
이제는 엄마가 심각하게 결혼을 이야기 하지는 않는다. (뭐;; 전에도 그렇게 심각하다고 느끼지는 않았다)
엄마가 결혼을 이야기 하기 이전에 비혼 친구들이 얼마나 많은지, 이 친구들이 얼마나 건강하게 즐겁게 "잘" 살아가고 미래를 준비해나가고 있는지, 이 친구들에게 내가 배울 것이 얼마나 많은지에 대해서 끊임없이 이야기 한다.
비혼으로서의 삶이 절대 불행하거나 외로운 것이 아니라는 것을 엄마가 이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듯 하다.

아..말이 또 옆으로 샜구나.

여튼 그래서 비혼 친구와 애인의 미묘한 경계를 타고 서서 나는 엄마에게 늘 커밍아웃아닌 커밍아웃을 한다.

이 친구와 미래를 함께 할 것이라는 뉘앙스를 늘 풍기고,
이 친구가 얼마나 좋은 친구인지 어필하고,
얼마나 배울 것이 많은 친구인지 어필한다.

엄마는 나에게 그 친구가 빨리 결혼해야 나도 보고 부러워서 결혼할 것이라고 말을 하거나,
그래도 그 친구가 결혼하면 어쩔꺼냐고 말을 하거나,
그 친구가 참 좋은 친구라고 응대해준다.

아마, 엄마도 **가 내 애인이라고 까지는 생각하지 않아도 거의 애인에 준하는 사람일 것이라는 것은 알고 있는 듯 하다.

여기서 내가 할 수 있는 것은 그저 계속 어필하고 즐겁게 잘 지내는 것 뿐.

이번에 엄마가 다쳐서 내려갔을때도, **가 엄마 걱정했다는 이야기도 하고, 사골을 먹어야 한다는 이야기도 하고, 돌아와서 피곤해보이는 나와 맛난걸 먹었다는 이야기도 했다.

나에게 중요한 사람은 우리 엄마에게도 중요한 사람이었으면 한다.

자... 이제는 또 어떤 전력을 또 짜볼까?


2011/09/12 00:13 2011/09/12 00:13

말하고 싶다.

Diary/단상 2011/09/08 01:22
말하고 싶은 욕구가 꼬물꼬물 올라오는 밤이다.

엊그제 엄마의 병실에 앉아 두런두런 이야기를 나누었다. 애인 이야기도 (친구인양) 열심히 했고, 내가 꿈꾸는 미래 이야기도 했고, 살아가는 이야기도 많이 많이 했다.

그러고 나는 체증이 좀 가라앉는 듯 하고 기분이 좋아진 것도 같다.

레인보우링의 이번 특집은 바이섹슈얼이다.

몇달 혹은 몇년만에 열심히 회의에 참여했나보다. 하고 싶은 이야기가 많은 것일게다.

말하고 싶다.

입이 근질근질하다.

이젠 말해야 할 때가 오고 있나보다.

이전에도, 그 전에도 말해야 할 때가 왔을때 꼭 잡지 못했었다.

이번에야 말로 꼭 잡아야겠다.

우다다다다다다다다다다 떠들고,

떠든 다음에는 꼭 손을 떼버려야지.

더이상 그렇게 떠들지 않아도 스스로 만족할만큼 떠들어야겠다.

지금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 보다,

아! 이거는 캔디에게 이야기해보자, 캔디랑 이야기해보자, 캔디에게 이야기해주자! 라는 생각이 더 많이 많이 들 수 있도록 떠들어보자.

언제나 그러하듯,

나는 가능한 사람이고, 나는 능력있는 사람이라는 것은 나도알고 너도 알고 세상도 안다.

그러니까, 하기만 하면 되는거다.

일정이 많으면 잠을 줄이고, 노는 시간이 많으면 그만큼 다른 시간도 늘려보자.

나는, 할 수 있는 녀자니까.

힘내자.
2011/09/08 01:22 2011/09/08 01:22

◀ PREV : [1] :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 [188] : NEXT ▶